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09

세입자 보호법 알고 있나요? 세입자 보호법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세입자라면 꼭 알고 있어야 할 법이 '세입자 보호법'입니다. 만약 자신이 세입자에 해당한다면 각종 정책과 제도에 대해 이해하고 있어야 본인 자산의 보증금을 안전하게 지킬 수가 있습니다. 세입자에 해당하시거나 임차인이 될 것이라면 지금 바로 세입자 보호법에 대해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지금 바로 확인해 보세요. 1. 계약갱신청구권 2. 전, 월세 상한제 3. 전, 월세 신고제 1. 계약갱신청구권 계약갱신청구권은 임차인이 2년 동안 거주한 후 1회에 한해 임대차 계약을 2년간 더 연장할 수 있는 권리입니다. 본래 2년 계약을 했기 때문에 2년이 지나면 거주했던 집을 비워줘야 합니다. 하지만 임차인이 원한다면 2+2년으로 총 4년간 살 수 있습니다. 참고로 임대인은 세입자가 .. 2022. 3. 16.
베란다, 발코니, 테라스의 차이점을 알아보자 베란다, 발코니, 테라스의 차이점에 대한 정보를 찾고 있나요? 아파트 분양 시 베란다 확장인지, 발코니 확장인지에 대한 내용이 나옵니다. 정확한 차이점을 모르고 비슷한 의미라 생각하여 혼용해서 사용하기도 하는데요. 지금 바로 베란다, 발코니, 테라스의 차이점을 확인해보세요. 1. 베란다 2. 발코니 3. 테라스 1. 베란다 베란다는 건물의 1, 2층의 면적 차로 생긴 바닥 중의 일부 공간을 활용하여 생긴 공간입니다. 일반적으로 베란다는 발코니와 자주 혼용되어 사용되지만, 엄밀히 말해 다른 부분입니다. 1층 면적이 넓고 2층 면적이 좁을 경우 1층의 지붕 부분이 남게 되는데 이곳을 활용한 것이 베란다입니다. 즉, 아래층 지붕을 이용한 것이 베란다이고, 이와 구별되는 발코니는 바닥이 아래층의 지붕이 아니며,.. 2022. 3. 15.
부동산용어 기공, 착공, 시공, 완공, 준공에 대해 알아보자 부동산용어 기공, 착공, 시공, 완공, 준공에 대한 정의를 찾고 있나요? 부동산 공부를 하다 보면 건축 과정에 대한 용어인 기공, 착공, 시공, 완공, 준공에 대한 내용을 접할 수 되는데요. 리모델링이나 직접 본인 건축 시 해당 용어를 알고 있으면 주인 입장에서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데요. 비슷한 의미로 헷갈렸다면 지금 바로 기공, 착공, 시공, 완공, 준공에 대해 확인해보세요. 1. 기공이란? 2. 착공이란? 3. 시공이란? 4. 완공이란? 5. 준공이란? 1. 기공이란? 기공은 공사가 시작한다는 것을 사람들에게 알리는 첫 단계인데요. 공사의 첫 시작을 축하하고 공사가 안전하게 진행되길 기원하는 마음으로 하는 행사입니다. 이 행사는 일반적으로 리본 커팅식과 첫 삽 뜨기 행사를 진행합니다. 2. 착공이란.. 2022. 3. 14.
입주전 고민되는 대표적인 3가지를 알아보자 새집 입주 전 고민되는 부분이 있으신가요? 대부분 사람들이 새집 입주를 앞두고 있거나 리모델링 후 고려하는 부분이 몇 가지 있는데요. 바로 입주청소, 중문 설치, 줄눈 코팅, 발코니(베란다) 페인트칠입니다. 하지 않아도 크게 문제가 없을 것 같기도 한 데다 추가 비용이 드는 부분이기 때문에 선뜻 결정하기 쉽지 않은 부분인데요. 지금 바로 입주 전 할까 말까 고민되는 위 3가지에 대하여 알아보세요. 1. 입주 청소해야 하나? 2. 중문설치 필요할까? 3. 줄눈 코팅과 발코니 페인트칠해야 할까? 1. 입주 청소해야 하나? 깔끔하게 공사가 마무리된 새집은 육안으로는 깨끗하게 보이기에 그냥 입주해도 문제가 없을 것이라 생각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장기간 공사로 인해 쌓여 있는 먼지와 시멘트 가루, 건축자재.. 2022. 3. 13.
선분양, 후분양 장단점을 알아보자 아파트 선분양, 후분양에 대한 정보를 찾고 있나요? 2018년 주거 종합계획을 발표하면서 '아파트 후분양제'도입 계획을 밝혔습니다. 공공 부분부터 단계적으로 후분양을 실시하고 민간도 기금 지원 등을 통해 후분양 활성화를 유도하겠다는 계획인데요. 지금 바로 아파트 선분양, 후분양에 대한 정의 및 장단점을 확인해 보세요. 1. 선분양 2. 후분양 3. 아파트 선분양, 후분양 장단점 1. 선분양 아파트 선분양은 일반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분양제도로 주택이 완공이 되기 전 견본주택과 지면 공고 자료를 통해 분양하고, 입주자가 납부한 계약금 및 중도금을 통해 전체 가격의 80% 정도를 완공 이전에 납부하여 건설자금으로 충당하는 제도입니다. 선분양은 사전에 협의된 일정 금액을 받고 진행하기 때문에 처음 봤던 품질과는.. 2022. 3. 12.
역세권 장단점을 알아보자 역세권 장단점에 대한 정보를 찾고 있나요? 빌라, 주택, 아파트 분양, 상가, 지식산업센터 분양 등의 광고에 빠지지 않는 문구가 '역세권'이라는 용어입니다. 역하고 가까우면 역세권 아니야?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요. '역세권'의 정의 및 장단점을 지금 바로 확인해 보세요. 1. 역세권 2. 역세권 범위 3. 역세권 장단점 1. 역세권 역세권은 기차역이나 지하철역을 중심으로 다양한 상업, 업무, 주거 등의 활동이 이뤄지는 반경 500m 이내 도보 10분 이내 부동산을 말합니다. 즉, 지하철역(전철) 중심으로 도보 10분 거리 이내 지역을 역세권이라고 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500mm 이내에 부동산이 위치해 있다고 모두 역세권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이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해당 부동산과 역까지의 동선 및.. 2022. 3. 11.
부동산 계약서 분실 시 대처 방법을 알아두세요. 부동산 계약서 분실에 대한 정보를 찾고 있나요? 분명히 집안 약속된 장소에 잘 넣어뒀는데 찾으려고 하면 잘 보이지 않을 경우가 있습니다. 막상 필요하면 잘 안보이죠. 이럴 경우 당황하지 마시고 걱정하실 필요 없습니다. 지금 바로 대처 방법을 알아보세요. 1. 임대차 계약서 분실 시 2. 등기권리증 분실 시 3. 아파트 분양계약서 분실 시 1. 임대차 계약서 분실 시 임대차 계약서 분실 시 부동산은 법적으로 5년 동안 전, 월세 계약서 보관 의무가 있습니다. 만약 임대차 계약서 분실 시 임대계약을 체결한 부동산을 방문하여 계약서 사본을 요청하면 계약서 사본을 받을 수 있습니다. 만약, 월세 계약서 사본을 받았는데 확정일자가 적혀 있지 않을 시 해당 지역 주민센터에서 확정일자 확인 정보공개 요청서를 작성 및.. 2022. 3. 10.
어려운 이사 이젠 그만! 서울지갑 앱 이사온으로 한방에 해결하세요. 복잡한 이사 때문에 고민이신가요? 봄철이 다가오면 이사를 많이 하고 이사 전후 각종 관련 서류가 필요합니다. 이사보다 이사 후 서류 업무가 더 힘들기도 하는데요. 이처럼 이사 전후 복잡한 각종 서류 발급 행정업무를 한 번에 쉽게 해결해주는 앱이 있어 소개해 드립니다. 지금 바로 확인해 보세요. 1. 서울지갑 이사온 2. 발급 가능한 행정서류 8종 3. 기타 기능 1. 서울지갑 이사온 서울지갑 이사온은 2021년 12월 1일부터 운영 중인 서비스입니다. 서울지갑 앱 이사온은 여러 공공기관에 분산된 개인 정보를 전자문서 형태로 발급해주는 공공 마이데이터를 연동해 활용하는 서울시 디지털 ID 기반 비다면 행정서비스입니다. 서울지갑 앱 이사온은 블록체인 기술 기반으로 부동산 전자계약서 보관, 확정일자 확인, 전.. 2022. 3. 9.
반응형